[학원 선택 과정]
어떤 언어를 사용할 것인지에 대해 어느정도 결론을 내린 뒤로는 어떻게 배울 것인가를 고민하기 시작했습니다. 모아놓은 돈이 많은 것도 아니고, 시간도 나의 편이 아니기 때문에 최소의 예산으로 최대의 효율을 낼 방법을 고민했습니다.
1. 국비 학원
xx IT 학원, yy 컴퓨터 학원…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지만 가장 먼저 선택지에서 지운 교육 방법입니다. 오프라인으로 배울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보통 자바를 주력으로 가르치고, 선생님의 코딩쇼만 하루종일 보다 간다는 부정적인 수강 후기가 많기 때문이었습니다. 물론 장인은 도구 탓을 하지 않는다는 말처럼 국비 학원에서 좋은 결과를 낸 사람들도 있고, 좋은 커리큘럼을 바탕으로 학생들을 가르치는 학원도 굉장히 많을 것입니다. 다만 프로그래밍 공부를 처음 시작한 입장에서 짧은 시간 상담만으로는 좋은 학원을 가려내기 어려울 것이라고 판단하였습니다.
2. 오프라인 부트캠프
단기간에 집중적인 교육으로 개발자를 양성한다는 의미를 지닌 여러 부트캠프들은 오프라인 부트캠프와 온라인 부트캠프로 나눌 수 있습니다. 둘 다 기간은 약 3개월 ~ 6개월 정도로 비슷하지만 오프라인 부트캠프는 아무래도 수업을 진행할 공간이 필요하다 보니 온라인 부트캠프에 비해서 비싼 측면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1년 간의 재택근무를 경험해본 입장에서 온라인 수업보다는 오프라인 수업을 조금 더 선호하여 오프라인 부트캠프를 여럿 알아보았습니다. 다만 코로나의 영향이 아직 끝나지 않아서인지 오프라인으로 진행하는 곳이 그리 많지 않았고, 일부 유명한 부트캠프의 경우 연말에나 수강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오프라인 부트캠프 역시 선택지에서 제외했습니다.
3. 온라인 부트캠프
온라인 부트캠프의 장점은 오프라인 부트캠프에 비해 압도적으로 저렴한 가격을 들 수 있습니다. 온라인 부트캠프를 운영하는 업체도 매우 많고, 프론트엔드, 백엔드, 모바일, AI 등 다양한 과정이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입맛에 맞게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듯 했습니다. 일부 온라인 부트캠프의 경우 국비 지원과는 별개로 각 지자체의 지원 하에 무료 코스를 운영하는 경우도 있어서 이러한 제도를 찾아보면 예산을 절약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ex. 스파르타코딩클럽 이노베이션 캠프)
4. K-Digital 트레이닝 과정
K-Digital 트레이닝 과정은 'AI, 빅데이터 등 디지털, 신기술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는 기반기술, 그리고 이를 이용한 핀테크, 스카트제조 등의 응용기술을 배울 수 있도록 다양한 훈련과정을 제공하는 직업훈련 과정입니다.' (HRD-NET 설명) 단순히 설명하자면, 정부 지원을 받는 부트캠프 과정이라고 요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국비로 지원하는 과정이니만큼 국민내일배움카드를 발급받아야 하며, 수강료는 무료이며 출석률에 따라 최대 월 3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강의에서 사용하는 언어도 프론트엔드의 경우 자바스크립트, 백엔드의 경우 파이썬이 주를 이루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좋은 혜택을 주는 만큼 대부분의 코스에서 자기소개서와 과제 전형이 있으며, 거의 매달 새로운 기수를 모집하는 온라인 부트캠프와 달리 따로 지원 시즌이 있는 점은 K-Digital 트레이닝 과정의 단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선택지를 놓고 고민한 결과 저는 K-Digital 트레이닝 과정에 우선 지원하고, 불합격할 경우 온라인 부트캠프에 지원하기로 결정했습니다. 2022년 기준으로 8월 중순 ~ 말 경 코드스테이츠, 코드라이언 등의 부트캠프가 시작하여 지원 타이밍이 잘 맞았기 때문입니다. 현재는 코드잇 강의를 통해 K-Digital 트레이닝 과정을 준비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습니다. 다음 글로는 비전공자들이 무료 혹은 적은 비용으로 코딩을 접해볼 수 있는 여러 플랫폼(생활코딩, 노마드코더, 코드잇...)을 겪어본 후기와 코드잇 후기로 돌아오도록 하겠습니다. (미리 말하지만 내돈내산! 광고 아닙니다!)
'개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드스테이츠 부트캠프 Day 1 ~ Day 3까지의 후기 (0) | 2022.08.25 |
---|---|
코드스테이츠 KDT 부트캠프 지원 및 합격까지의 이야기 (1) | 2022.08.19 |
비전공자가 가성비 코딩 공부 시작하는 방법 (0) | 2022.08.16 |
비전공자가 프로그래밍 언어 선택하는 방법 (자바스크립트, 파이썬) (0) | 2022.08.16 |
비전공 노 베이스 개발자 전직 성공기 (or 실패기) (0) | 2022.08.16 |